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기준 중위소득이란 (100%이하)

by 푸른나라 2024. 5. 14.

나라로부터 여러가지 복지혜택을 받기 전 체크해야하는 기준 중위소득이란 무엇일까요 오늘 기준 중위소득 개요와 함께 100%이하가 의미하는 것에 대해 함께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기존 중위소득 살펴보기

목차

    기준 중위소득이란

    정부의 복지혜택을 신청하기 전 꼭 나오는 내용이 있습니다. 바로 기준 중위소득인데요 보통 우리나라의 모든 가구를 소득 금액별로 놓았을 때 가장 중간값에 해당하는 소득 금액이 바로 기준 중위소득입니다.

     

    👆기초생활수급자 생계급여

     

    이를 100% 값으로 놓기 때문에 우리가 가장 정 중앙에 놓이는 값을 기준 중위소득 100% 라고 부르는 것 입니다. 

     

    이와같은 기준 중위소득은 매년 다르게 적용되는데 올해 1인 가구 기준 100% 값은 2,228,445원 입니다.

    기준 중위소득 100%

     

    2024년 기준 중위소득 100%는 다음과 같습니다. 보통 가구 인원수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에 아래 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인가구의 경우 5,729,913원이고 만약 8인 이상일 경우에는 1인이 증가할 때마다 879,534원씩 증가하여 8,987,049원이 됩니다.

     

    기준 중위소득 계산방법

    기준 중위소득을 계산하는 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중위소득 50% 값이 필요한 경우 가구 중위소득 100% X 0.5로 계산하면 되기 때문입니다.

     

    👆중위소득 100% 개념

     

    기초생활수급자로써 생계급여를 받는 32%의 경우에도 100% 값인 2,228,445 X 0.32를 할 경우 713,102원이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득인정액 계산방법

    소득인정액은 실제 소득에 대한 소득평가액 + 재산을 월 소득으로 환산한 소득환산액을 더하여 계산합니다. 정부의 혜택을 받기 위한 계산으로 소득인정액을 많이 활용하는데요

     

    아래 모의계산기를 통해 손 쉽게 구해볼 수도 있습니다.

     

     

     

    보통 재산이 어느정도 있어도 공제해주기도 하기 때문에 소득인정액을 구했는데 복지 혜택을 받기 어렵더라도 주민센터를 통해 상담을 해보는 것을 권장 드립니다.

     

    또한 소득인정액은 소득 수준이 적절하더라도 급여에 따른 근로능력 및 부양 의무자의 여부에 따라 수급자 자격 여부가 결정됩니다.